CJ대한통운, 택배기사 '계약당사자' 아니라더니 개인정보 관리(f. 택배연봉, 택배수입, 택배취업)

Author : LogiReporter / Date : 2021. 7. 20. 17:52 / Category : 기획
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h2lIWophUU 

 

지난 7월 15일, CJ대한통운이 보도자료를 하나 발표합니다.

 

<"택배 아저씨는 옛말"…CJ대한통운, MZ세대 택배기사 8,101명>이라는 제목입니다.

 

이 보도자료를 보고 두 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.

 

 

첫째, 그 동안 CJ대한통운 본사는 택배기사 관련 부정적인 이슈가 터지면 "우리는 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다"라고 말해왔습니다.

 

계약의 당사자가 아닌데, 어떻게 기사들의 개인정보는 꿰뚫고 있을까요?

 

제3자가 타인의 월 평균 소득과 근로자 규모를 통계로 관리하는 것 또한 모순적으로 보입니다.

 

지금 이 순간에도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한 택배 기사 지입 사기는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.

 

CJ대한통운 측은 여전히  자신들이 계약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

 

필요할 땐 슬쩍 숟가락 얹고, 부정적 이슈가 나오면 외면하는 모습이 씁쓸합니다.

 

둘째, 소득과 수입을 비교해 혼란을 초래했다는 점입니다.

 

소득과 수입은 엄연히 다른 의미입니다.

 

CJ대한통운은 보도자료에서 MZ세대 택배기사의 공제 전 월평균 수입이 694만원이라고 밝혔습니다.

 

특히 2019년 임금근로자일자리 월평균 소득 309만원을 제시하면서, 두 배 이상 웃도는 금액이라고 설명했습니다.

 

 

공제 전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, 두 배 이상 웃도는 금액이라고 비교하는 건 분명 오해를 살 수 있습니다.

 

이날 보도자료가 나간 뒤 택배노조 측은 즉각 반박 입장문을 냈는데요.

 

"매출을 순수입으로 둔갑시키는 전형적인 왜곡보도"라고 비판했습니다.

 

또한 "매출에서 10%의 부가세, 15% 내외의 대리점 관리수수료, 차량 할부비, 보험료, 분실·파손료, 기타 경비 등을 제외하면 보통 매출에서 35~40%는 제외된다고 설명했습니다.

 

특히 노조 측은 "택배 노동자의 주 평균 노동시간이 71.3시간"이라며 "장시간 노동에 비춰보면 사실상 최저임금 수준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

 

 

물론 노조 측이 제시한 데이터도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.

 

그럼에도 소득과 수입을 동일 선에서 비교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데 저희 또한 동의합니다.

 

어쨌거나, 연이은 폭염에도 불구하고 물류 최전선에서 택배기사님들이 고생하는 건 확실한 팩트입니다.

 

밝은 면을 조명하는 것도 좋지만, 어둠이 있기에 빛이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.

 

[로지브리지 더 많은 콘텐츠 즐기기]

반응형
반응형

Search

Copyright © LOGIBRIDGE BLOG All Rights Reserved
Designed by CMSFactory.NET